TCP/IP의 간단한 개요
👉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
-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(컴퓨터, 서버 장비, 스마트폰 등)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
구분 | IPv4 (보편화된 IP버전) | IPv6 (확장성과 용량 up) |
주소길이 | 32bit | 128bit |
표시방법 | 4개 부분에 8bit씩 10진수로 표시 ex) 202.30.64.22 | 8개 부분에 16bit씩 16진수로 표시 ex) 2001:0203:abcd:ffff:0000:0000 |
주소개수 | 256*256*256*256 = 약 43억개 | 약 43억*43억*43억*43억개 |
👉 도메인 네임 시스템(DNS, Domain Name System)
- 도메인 네임 : IP 주소를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문자료 표현한 것
- DNS : IP 주소에 도메인 네임을 할당하고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
👉 포트(port)
- 포트 : 운영 체제 통신에서의 종단점
- 포트번호 : IP Address를 통해 목적지 호스트까지 도달한 후에는 어떤 프로세스(Process)에서 데이터를 받을 것인지를 알아야 할 때 쓰임
구분 | 포트 범위 | 설명 |
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) | 1~1023 |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는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음 이미 알려져 있는 것들이 많은 구간 대표적으로 80(http), 443(https) |
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) | 1024~49151 | 사용자가 직접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 |
동적 포트(dynamic port) | 49152~65535 | 매번 접속할 때마다 포트번호가 변경되며, 인터넷이나 시스템에서 사용할 때 동적으로 할당하는 포트 |
# DNS 서버가 IP 정보를 보내주는 방법
# 회선 통신 / 패킷 통신
- 먼 옛날 사용하던 회선 교환(Circuit Switching) 방식
- 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 방식의 등장
# TCP/IP
- IP 정의
- 패킷들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종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
- 패킷 전달 여부를 보장하지 않고, 순서 역시 보장하지 않는다.
- TCP
- 정의
- 패킷을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전송 프로토콜
- IP위에서 동작하고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하고 순서도 보장.
- 흐름제어
-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
- 혼잡제어
- 송신측의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
- TCP handshake
- 3-way handshake
- 두 종단 간 **정확한**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
- 4-way handshake
- 두 종단 간 데이터 전송을 끝낸 후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
- TCP/IP
- IP + TCP = **인터넷 프로토콜 + 전송 제어 프로토콜** 이다.
- TCP를 기반으로 한(신뢰성 통신을 하는) HTTP,FTP,SMTP 등 수 많은 프로토콜들이 IP 위에서 동작하기에 묶어서 TCP/IP라고 한다.
- 결국에는 효율적으로 빠르게(IP) 보내면서 안전하게(TCP) 전달해주려는 목적
🙋♂️ 소감 :
HTTP 들어가기전 선수학습 내용에 대해서만 정리를 해보았다.
솔직히 지금까지 CS 강의 내용이 잘 이해되지는 않는다.
지금 하는건 아직 인터넷 통신을 접목한 프로젝트가 아니어서
서버 통신을 하면서 만들어야하는 다음 프로젝트 작업을 할 때
위 내용을 접목해보면서 다시 한번 공부해야겠다.
😈 아는 내용이라고 그냥 넘어가지 않기! 😈
'❤️🔥TIL 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022-11-29(22day) (0) | 2022.11.29 |
---|---|
[TIL] 2022-11-28(21day) (0) | 2022.11.28 |
[TIL] 2022-11-24(19day) (0) | 2022.11.24 |
[TIL] 2022-11-23(18day) (0) | 2022.11.23 |
[TIL] 2022-11-22(17day) (0) | 2022.11.2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