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 Boot
👉 Spring Boot 서비스 구조
# Controller
- Client의 요청을 받아 Requestmapping을 수행하고, 응답을 전달
- 해당 요청 url에 따라 적절한 view와 mapping
- 적절한 DTO(ResponseEntity)를 Client에 반환.
# Entity(Domain)
- 데이베이스에 쓰일 컬럼과 여러 엔티티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
-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하나의 엔티티로 생각해도 무방함
-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1:1로 매핑됨
- 이 클래스의 필드는 각 테이블 내부의 컬럼을 의미
# Repository
- Entity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
-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
-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CRUD를 정의하는 영역
# DAO (Data Access Object)
-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를 의미 (Persistance Layer)
- Service가 DB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영할
- DB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전담
# DTO (Data Transger Object)
- DTO는 VO(Value of Object)로 불리기도 하,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의미
- VO의 경우 Read Only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.
# Entity와 DTO를 분리하는 이유
- 테이블과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Entity와 View로만 통신하는 DTO와의 의존성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....?
🙋♂️ 소감 :
오늘은 스프링 부트의 서비스 구조를 이해하려고 하루를 다 보냈다.
우선 대충은 어떤 흐름인지 눈에 익기 시작했고,
입문 과제는 스파르타에서 제공해준 메모2 자료를 활용하여 하고 있었는데 index 부분이 너무 화려해서
손을 대면 댈수록 자바크립트가 망해가고 있다....ㅎㅎ
다시 해야지^^;;
😈 아는 내용이라고 그냥 넘어가지 않기! 😈
'❤️🔥TIL 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022-12-12(31day) (0) | 2022.12.12 |
---|---|
[TIL] 2022-12-09(30day) (0) | 2022.12.11 |
[TIL] 2022-12-07(28day) (0) | 2022.12.07 |
[TIL] 2022-12-06(27day) (0) | 2022.12.05 |
[TIL] 2022-12-05(26day) (0) | 2022.12.05 |
댓글